이 '비움'이라는 것은 서로 각기 개별적인 사유와 실천의 차이에 따라  중정, 마당, 아뜨리움, 회랑, 광장, 등 다양한 어휘로 적절히 발전하고, 변용되어 왔다. 이시대의 건축적 '비움' 이라는 개념은 조금은 상투적이고 따분하고 지루한 개념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골적으로 '공백' 이라 칭하고, 우리의 건축적 철학으로 잡은 것은 이 '비움'이라는 개념이 그만큼 가치있고, 또 필요하기 때문인것이 아닐까. 기능 만능주의의 시대의 흐름에서, 우리는 다소 노골적으로 현 상황을 부정하고 있다. 좀더 나아가 건축 공간[空間]이 지녀야 할 본래적 조건으로 비결정성과 불확정성, 개방성, 가변성 등에 주목해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공간[空間]을 바라봄에 있어 어떻게 기능하고, 작동할 것인지, 무엇으로 채울것인지에 대한 철저하게 계획된 서사의 나열이 아니라, 그에 앞서서 그런 현상의 정면에서 잠시 비껴서서 어떻게 흩뜨려 놓을지, 예측불가능한 상황을 제시하며, 무엇을 비워낼 것인지, 그 여백[餘白]을 어떻게 조직 하고 구성할 것인지 고민한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가 보다 풍요로워질 수 있는 다양한 실험과 작업을 진행한다.


    The concept of 'emptiness' has evolved and transformed into various terms such as jungjeong, madang, atrium, corridor, and square-depending on individual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In today's context, the architectural idea of 'emptiness' might seem like clichéd, dull, and repetitive. Nonetheless, we have deliberately termed it 'empty space,' as we believe the concept of 'emptiness' carries significant value and remains essential to our architectural philosophy. In an era dominated by functionalism, we are taking a somewhat explicit stance against the prevailing norms. We believe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 building's space [空間] should embody are indeterminacy, uncertainty, openness, and variability. In our approach to space [空間], we do not focus solely on how it functions, operates, or what it should be filled with, which are typically planned and pre-determined narratives. Instead, we first step back from such phenomena and consider how to scatter them, introduce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contemplate what to leave empty. We also focus on how to organize and structure these gaps or Yeo-back [餘白] (literally "remaining white," a term used to refer to the aesthetic and conceptual value of emptiness). Based on this, we engage in various experiments and work to enrich human life and society.






About


  OIOOARCHITECTS는 서울에 기반을 둔 실험적 건축 집단 이다. 공간 [空間]을 계획 함에 있어서 어떻게 채울 것인지에 대한 고민에 앞서서 어떻게 비워낼 것 인지, 그 여백 [餘白]을 어떻게 조직하고 구성할 것인지 고민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가 보다 풍요로워 질수 있는 다양한 실험과 작업을 진행 한다. 또한 아이디어를 넘어 이를 구축하기 위한 재료, 구조에 대한 이해와 탐구를 바탕으로 문화 예술 영역 과의 협업을 통하여, 가구, 인테리어, 공공예술 등 다양한 형식으로 건축적 가능성을 실험하고 있다

                   

  OIOO Architecture is an experimental architectural group based in Seoul. In planning the space, prior to thinking about how to fill it, we consider how to empty it and how to organize and organize the blank space, and based on this, we conduct various experiments and works that can enrich humans and society. In addition, based on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the materials and structures for constructing them beyond ideas,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culture and arts field, they are experimenting with architectural possibilities in various forms such as furniture, interiors, and public art.






하 상 준 _Ha Sang Jun

   Prinsipal / Architect

   - 대한민국 건축사 (KIRA)

   - 울산광역시 공공 건축가 (2025 - )


  하상준은 울산대 건축학과를 졸업한 후 IROJE, OOA, KYWC 에서 실무를 익혔다 

2011년 Ulsan Architecture Award 대상, 2013년 AIK Architectural Exhibition Award 최우수상 수상자 이다 2020년 OIOOARCHITECTS를 개소하여 작업하고 있다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할 줄 아는 자세로 건축에 접근하고 해법을 찾으려 하고 있다.

                                               

  Sang-Jun Ha received a Bachelor Degree in Architecture from Ulsan University. He has various experiences at IROJE, KYWC, and OOA. He received Grand Prizes in Ulsan Architecture Award (2011), First Prizes in AIK Architectural Exhibition Award (2013). In 2020, he opened and is working on OIOO Architects. He approaches architecture and finds solutions with an attitude that understands and respects diversity.

Awards, Prize




2025
부여 청소년수련원 실내체육관 설계공모
1st Prize (당선)

부여 근로자 공동기숙사 설계공모
3rd Prize (입상)



2024태백 공원묘원 봉안당(추모관) 설계공모2nd Prize (입상)

용인 학생야영장 현대화사업 설계공모3rd Prize (입상)

정선 태백선 고한역 시설개선 사업 설계공모3rd Prize (입상)

이천 설봉서원 교육관 설계공모
2nd Prize (입상)

음성 시니어친화형 국민체육센터 설계공모
5th Prize (입상)



2023공주 석장리 구석기전망대 설계공모
2nd Prize (입상)

밀양 동명고등학교 기숙사 설계공모
2nd Prize (입상)

안성 죽산중고 통합학교 기숙사 설계공모5th Prize (입상)

강원건축문화상 특별부문  [작소비가]입선



2021충청남도 건축상  [층층마당]특별상



2019원주 한솔문화재단 파빌리온 설계공모
Entry. 11
2016
제25회 T.S kim Architectural Fellowship
Final List (Entry.3)
2013대한건축학회 2013 작품전최우수상
2012현대 한옥디자인 국제공모전특별상
2011한국건축가협회 울산 건축대전 1st Prize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