作 小 卑 家ㅣㅁ자 집

정선 단독주택 ll.

2022 (completed)


2023 강원도 건축상   특별부문   [입선]  🏆 

2025 [EBS 건축탐구 집]   01.07.   방영  🔔

2025 [BOB 매거진] no.247 2월호   개제  🔔

2025 [월간 건축사] VOL. 671 3월호   개제  🔔 

2025 [월간 건축문화] 3월호 개제   🔔 



EBS. 건축탐구 집. 25.01.07 방영

_ 2부 22분53초 부터


작아서 소중하고, 비울 수 있어 가치로운.

 이 집은 은퇴를 앞둔 노부부가 복잡한 도시를 떠나 자연과 벚 삼기 위해 작고 소박한 집 한채를 짓고자 하는 바램에서 시작하였다. 말투에서 구수한 부산 사투리가 묻어 나오는 건축주 부부는 평생을 부산에서 나고 자라 왔으며, 아파트 라는 주거 형태에 익숙한 전형적인 도시인이다. 하지만, 주거 방식에 대한 요청사항은 간단하였다. 거주하기에 편하고, 자연경관을 담을수 있는 집이면 될것이라 하였고, 도시에서의 거주방식을 바꾸고싶다 하였다.


 우선, 오랫동안 가져온 '집'에 대한 우리의 관념에서 이 집을 만들었다. 우리의 전통적인 집들은 방과 방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한간[間]집, 아흔아홉간[間]집이라고 하는것들은 바로 방의 집합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방들은 서양집의 거실, 침실, 서재, 화장실 등 의 목적으로 불리는게 아니라, 위치에 따라 안방 건너방 문간방 등 목적 없는 방들의 집합이 우리의 집이었다. 이 방에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이불을 깔면 침실이고, 식탁을 놓으면 식당이 되며, 책상을 두면 서재, 침실과 쇼파를 두면 거실이 되는 불특정한 '비움'의 방의 연속이다. 또한 방과 방사이는 벽으로 구획되고 문으로 닫히는 것이 아니라, 쓰임의 방식에 따라 칸막이를 옮겨가며 방을 합치고 또 분리할수 있다. 모든 방의 칸막이를 열어둔다면 사용자는 방과 방을 지나 시작지점으로 무한히 회귀할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방'에 들어가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방'을 지나 다른 '방'으로의 전이일 것이다.


 북에서 흘러내려오는 구절천과 동에서 흘러 들어오는 골지천이 합류하는 아우라지 나루터에서 부터 다시금 30리를 따라 내려오면 오대천과 합류한다. 그렇게 만난 하천이 비로서 강의 이름을 얻어 조양강으로 바뀐다. 그렇게 하천이 굽이쳐 호를 그리며 만나 어우러지는 곳에 넓은 평야가 펼쳐지고 남평[南坪]이라는 지명으로 불려왔다. 대지는 북의 백석봉과 남의 민둔산, 서의 가리왕산과 동의 남산으로 둘러쌓여있으며, 둥글게 감싸 흐르는 오대천 남쪽의 넓은 평야 마을, 남평리[南坪里] 그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사방이 틔어 있어 어느 방향으로 앉아도 시선의 모든 풍경이 자연과 함께 어우러져 아쉬울게 없다. 더불어 앞서 말한 방과 방의 연속, 방들의 집합이라는 형식은 주변 자연과 직접적으로 관계맺음을 통해 통풍과 채광을 자유롭게 하므로 건강하다. 남평[南坪]이라는 풍광 좋은 터에는 이런 집이 제격이 아닐 수 없으며, 사용자에게 즐거움이 될것이다. 


 현관에 들어서 첫 칸막이를 열면 사용자는 방향을 선택해야 한다. 사실 어느 방향을 선택하더라도 목적지까지 갈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여정의 시퀀스는 항상 다르기에, 고민되는 단계이다. 중앙의 작은 중정을 기준으로 쇼파와 TV가 있는 방(거실)과 8인용테이블이 있는 방(식당)이 서로 마주보고 있고, 그너머 마당을 지나 오대천이 흐르는 소리, 그너머 가리왕산의 나무들이 부대끼는 풍경까지 담아볼수 있다. 주방에서 식당을 넘어 안방의 칸막이를 젖히면 마당을 즐기며 다함께 모여 식사할 수 있는 큰 사랑채로, 건너방의 칸막이를 젖히면 단풍나무의 붉은 색채로 가득한 작은  중정을 병풍삼아 담소를 나눌수 있는 작은 사랑채가 된다.

이 모든 방들이 각각의 다른 방에 대해 서로 독립적이면서, 다시 함께 모여 불특정한 비움의 방으로 변한다.


 이 작은 집을 준공할 즈음 건축주 부부는 이름을 지어줄 것을 요청했다. [作 小 卑 家 ]  단어 그대로 직역하면, 작고 낮게 지은 집. 의미 그대로 작아서 소중하고, 비울수 있어서 가치가 있다는 의미이다.  

Emptiness

 This project began with the desire of an elderly couple nearing retirement to leave behind the complexities of city life and build a small, modest home that brings them closer to nature. The couple, who speak the rich dialect of Busan, were born and raised in the city and are used to living in apartments. Their request for their new home was simple: they wanted a place that was comfortable to live in and could frame the natural scenery. They also wanted to change their way of life from urban living.


 The fundamental concept for this house was based on the traditional notion of the house for a home.  Our traditional house had long been a collection of interconnected rooms. When our ancestors spoke of a house of one kan(a unit for 3.3m2) and a house with 100 kans, they referred to a total floor area of the rooms of a house. Each of the rooms were called not as a living room, a bedroom, a study, or a bathroom according to the functions used in the western world, but as an inner room, an opposite room, a gate-side room, a back room (for a lavatory, which was in the backyard of the hous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rooms. When people spread out the bedding, the room becomes a bedroom; when a table, the room becomes a dining room; when a desk, it became a study; and when people spread out a mattress, it becomes a playroom. In other words, the room was a flexible, undefined space in state of “emptiness”. Additionally, rooms are not partitioned by walls and doors in the same rigid manner as in Western homes. Instead, walls can be moved to combine or separate spaces based on how they are used. If all the partitions are left open, the user can move from room to room, endlessly returning to the starting point. In other words, it is not about entering and exiting rooms but rather transitioning from one room to another in an ongoing flow.


 From the Auraji Pier where the Gujeolcheon stream flowing from the north and the Goljicheon stream flowing from the east meet, if you continue down for 30 ri [里] (approximately 12 kilometers), you will reach the point where they merge with the Odaecheon stream.  The site is embraced by Baegseokbong Mountain to the north, Mindunsan Mountain to the south, Garigwangsan Mountain to the west, and Namsan Mountain to the east. Located at the edge of a wide plain south of the Odaecheon River in the village of Nampyeong-ri, the land offers an open view in all directions, making it easy to find a seat where every vista harmonizes with nature. Additionally, the form of interconnected rooms-the collection of rooms-directly interacts with the surrounding nature, allowing for natural ventilation and light, making it a healthy living space. This is the perfect kind of home for the beautiful Nampyeong area, and it will bring joy to its users.


 As you step through the front door, the first partition prompts you to choose a direction. No matter which direction is chosen, the destination can be reached, but the sequence of the journey will always be different, which creates a point of contemplation. From the small jungjeong (central courtyard) at the center, a room with a sofa and TV (living room) faces another room with an eight-person dining table (dining room). Beyond that, you can hear the sound of the Odaecheon River flowing through the madang (garden), and see the trees of Garigwangsan swaying in the distance. If you move from the kitchen to the dining room and then open the partition to the inner room (anbang), you will find a large sarangchae (main gathering room) where you can enjoy the madang and have meals together. If you open the partition to the opposite room (geonneobang), you will find a small sarangchae where you can enjoy the red hues of a maple tree-filled jungjeong, serving as a backdrop for conversation. All these rooms, though each independent, come together to form a series of undefined, empty spaces.


 As the small house neared completion, the owners requested that we name it.  The name, [作 小 卑 家], literally means 'a house built small and low.' In essence, it conveys the idea that the house, though small, is precious, and its value lies in its emptiness, its ability to be empty.

Project Information


용도:단독주택
대지면적:876.9㎡
건축면적:125.7㎡
연면적:125.9㎡
발주처:개인
설계:건축사사무소 공백
시공:월튼내사람들
구조:(철근콘크리트조+경량목조지붕)드림구조
창호:(알루미늄 시스템 창호) withjis 위드지스
외벽:(SH3238 블랙토담) 삼한C1
지붕:알루미늄 불소수지 도장 강판 0.7T돌출이음
제작가구:오목 디자인 + 한샘
환기설비:경동나비엔 전열교환기 + 키친플러스
실내도어:영림도어
간살도어:보강우드
조명기구:랙스조명
현관도어:(ingresso 헬싱키)도스템(주)
벽지:EDEN BIO 에덴바이오

:(소나무황토벽지 2212-27 52.)
마루:치장목질마루판 NOVA 노바마루

:(165*7.5T*1200블랙라벨 블랑오크+황토접착제)
데크:LEADERS WOOD 리더스우드

:(합성목재 LWD-20 (140*20T 메이플)) 
타일:윤현상재 PORCELAIN GEA

: (600*1200*6.5T INOLA AG ITALY)
촬영:kahn-photo 최진보